해외직구를 할 때 예상보다 높은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특히 와인, 위스키, 의류, 담배 등의 품목은 세금이 높아 신중한 구매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해외직구 시 부과되는 관세, 부가세, 개별소비세 등을 포함한 세금 정보를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1. 해외직구 면세 기준
해외에서 직접 제품을 구매할 경우, 일정 금액 이하일 때 관세 및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일반 제품: 150달러 이하 (미국 제품은 200달러) → 면세
주류(와인, 위스키 등): 150달러 이하 & 1병(1L) 이하 → 면세
전자담배: 니코틴 용액 20mL 이하 → 면세
건강기능식품: 6병 이하 → 면세
향수: 60mL 이하 → 면세
주의사항
같은 판매자로부터 같은 날짜에 여러 개를 주문하면 '합산 과세' 적용 가능!
건강기능식품·식품류·기능성 화장품 등 일부 품목은 목록통관 불가!
목록 통관이란?
목록통관은 관세 및 부가세가 부과되지 않는 통관 방법을 말한다. 여기에 운송업자가 송하인·수하인 성명과 주소, 국가 등 통관목록을 제출하면 수입신고가 생략된다. 하지만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식품류, 기능성 화장품 등은 목록통관이 불가능하다.
2. 해외직구 주류 세금 (와인·위스키·보드카 등)
와인과 위스키는 해외직구 시 세율이 매우 높습니다.
주류 종류 | 최종 세율 |
와인 | 약 68% |
위스키/보트카 | 약 156% |
예시) 30만원짜리 와인 구매 시 → 총 세금 20만4700원 부과 (관세 + 부가세 + 개별소비세 + 농어촌특별세 등 추가 부담)
3. 해외직구 담배 세금
담배는 해외직구 시 가장 많은 세금이 부과됩니다.
담배 관세율: 40% (개별소비세, 부가세, 담배소비세 등 추가 부과)
예시) 30만원어치 담배(10갑) 직구 시 → 총 세금 18만3034원
관세(40%) = 12만원
개별소비세 = 5940원
부가세(10%) = 4만2594원
담배소비세 = 1만70원
지방교육세 = 4430원
4. 해외직구 의류 세금
해외에서 옷을 구매할 때 150달러 이하라면 관세와 부가세 면제됩니다.
배송비는 과세 기준에서 제외되지만, 세금 부과 대상일 경우 포함됩니다.
예시) 30만원어치 의류 구매 시 → 총 세금 7만2900원
관세(13%) = 3만9000원
부가세(10%) = 3만3900원
5. 해외직구 세금 줄이는 꿀팁
① 관세청 해외직구 예상 세액 조회 시스템 활용
② 같은 판매자에서 같은 날 여러 개 주문하지 않기 (합산 과세 주의!)
③ 면세 기준(150달러 이하) 초과 여부 꼼꼼히 확인
해외직구는 국내보다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어 매력적이지만, 세금 문제를 간과하면 예상보다 높은 비용을 지불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류, 의류, 담배 등 세율이 높은 품목은 신중하게 구매해야 합니다.
해외직구를 똑똑하게 이용하는 방법은 면세 기준을 확인하고, 예상 세금을 미리 계산해보는 것! 관세청의 세금 계산기를 적극 활용하여 예상 비용을 꼼꼼히 따져보고, 합리적인 소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 최대 지원금 받는 방법 총정리 (0) | 2025.02.04 |
---|---|
청년희망적금 저축장려금 조건 및 확인하는 방법 (0) | 2023.12.01 |
쿠팡와우카드 신청방법 및 캐시적립 혜택 안내 (0) | 2023.10.27 |
에너지캐시백 제도소개 및 신청방법 안내 (2) | 2023.10.24 |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신청 및 사용방법 안내 (2) | 2023.10.23 |